보건의료 R&D에 2조 2097억 원 투입…난임 치료기술 등 개발| 전년대비 3.7% 증가…바이오특별위원회 제16회 회의 개최
|
◆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2024년도 시행계획(안)
이 계획은 포스트 코로나 대비 감염병 R&D의 도약을 위해 2021년 10월 수립한 추진전략의 올해 시행계획을 담고 있다.
먼저 지난해 시행계획 이행을 위해 8개 부처·청은 3724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.
지난해 주요 성과로는 국가 감염병 R&D 성과관리 강화를 위해 감염병기술표준분류체계(안)를 마련하고 NTIS 내 감염병 R&D 현황판을 신설하는 등 감염병 R&D 책임 기반을 강화했다.
주요 감염병 백신의 신속 개발체계를 구축했으며, mRNA 플랫폼과 필수예방접종백신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등 감염병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노력했다.
올해에는 시행계획 이행을 위한 R&D에 2667억 원을 투자할 계획인데, 다만 코로나19 관련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감염병 관련 R&D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했다.
이에 우선순위 신·변종 감염병을 중심으로 백신·치료제 100일/200일 R&D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감염병연구기관협의체 중심의 위기대응 매뉴얼과 관련 신규사업 기획도 추진한다.
아울러 감염병 임상연구센터,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등 연구 기반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.
특히 감염병 전임상 데이터 기반의 국가 전임상시험지원체계 운영을 통해 임상 예측 기술 확보를 추한다.
이밖에도 선진 연구기관 및 아시아·아프리카 중심 해외연구거점 구축, WHO 협력센터 등 국제 네트워크 활동 강화 등 국제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.
◆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(안)
이 계획에서는 필수의료, 백신 등 보건안보 관련 연구 지원,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 등과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.
우선 지난해에는 보건의료기술 R&D에 11개 부처가 2조 1397억 원을 투자한 바, 4000억 원 이상 기술이전 3건을 포함해 모두 9건 3조 38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.
또한 디지털 치료기기 국내외 인증 획득, 치매치료제 임상 1상·1a/1b상 승인인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.
한편 올해는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의 4대 전략 분야별로 혁신·도전형, 글로벌 협력 등 독창성·수월성 중심의 R&D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.
이에 국민 생명·건강 보호 3764억 원, 보건안보 확립 3488억 원,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 1조 1213억원, R&D 혁신 생태계 조성 3631억 원을 투자한다.
이를 통해 팬데믹과 미정복질환 등 미래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전·혁신적 연구개발체계를 보건의료 분야에 도입하기 위해 한국형 ARPA-H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.
특히 세계 최초·최고를 지향하는 글로벌 공동연구 확대 및 바이오 선도국과의 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도 나설 계획이다.